2025년 04월 02일

쇼핑몰 창업 전
반드시 알아야 할 세금과 절세


옷을 좋아하고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한 번쯤 쇼핑몰 창업을 생각해 보셨을 텐데요. 쇼핑몰 창업은 이미 경쟁이 치열한 분야인 만큼 초기비용을 절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 비용 절약은 세금을 통해서도 할 수 있는데요.📉 지금부터 쇼핑몰 창업 전 반드시 알아야 할 절세 전략에 대해 안내해 드리겠습니다.

쇼핑몰창업 전 반드시 알아야할 세금과 절세 1

쇼핑몰 창업 절세 전략 7가지

1. 개인사업자보다는 법인으로 설립 

​과세표준이 1,200만 원만 넘어도 법인세율이 소득세율보다 더 낮습니다. 개인사업자의 소득세율은 6~42%인 반면 법인세율은 10~25%가 부과되기 때문입니다. 따라서 가파른 성장이 예상되는 사업일 경우 처음부터 법인으로 설립하시거나, 중간에 법인으로 전환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.

​또 개인사업자는 종합소득금액에 비례해 건강보험료가 부과되는 반면 법인사업자의 대표이사는 급여에 비례해 건강보험료가 부과됩니다. 따라서 건강보험료 비용 면에서 이득이 있을 수 있습니다.​

법인사업자의 경우 배당을 잘 활용하면 개인사업자보다 절세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. 배당소득 포함 금융소득이 2,000만 원 이하인 경우 해당 금액은 건강보험료가 부과되지 않기 때문인데요.​

뿐만 아니라 개인사업자는 사업을 하며 발생한 빚을 대표가 전부 책임져야 합니다. 반면에 법인을 설립하면 새로운 책임자가 생기게 되는 것이므로 대표나 주주는 자본금을 내는 것 이외에는 아무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.​

지금까지의 내용만 보면 무조건 법인사업자로 창업하는 것이 더 이로울 것 같은데요. 하지만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.⚠️​

법인을 설립하면 아무래도 세무회계 부분에서 더 꼼꼼하게 장부를 작성해야 하고, 회사 계좌에서 돈을 함부로 출금할 수 없습니다. 그러니 본인의 상황에 맞게 개인사업자와 법인사업자를 선택하시되 쇼핑몰 창업 시에는 위에서 설명 드린 여러 이유로 법인사업자로의 창업을 더 추천드립니다.

2. 의류제조업으로 등록​

의류제조업의 경우 의류도소매업보다 더 많은 세액공제 및 감면 혜택이 있습니다.💰 의류도소매업의 경우 특별한 정부지원사업이나 조세혜택이 없는데요. 그래서 대부분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 상담을 거쳐 최대 7,000만 원까지 자금을 융자 받곤 합니다.

그러므로 사업자등록을 하실 때 의류제조업으로 등록 및 추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. 예를 들어, 기계장치 등 제조업에 주로 사용하는 사업용자산에 투자하는 경우에는 해당 투자금액의 3%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​

3. 정확한 매출 집계​

쇼핑몰 사업의 경우 그 특성상 다양한 형태로 매출이 집계된다는 것인데요.🤯

  • 옥션, G마켓 등의 오픈마켓 플랫폼을 통한 매출 확인

  • 이니시스, 올앳 등 결제대행업체를 통한 매출 확인

  • 쿠팡, 티몬 등 소셜커머스를 통한 매출 확인

  • 해외로 수출하는 경우의 매출 확인

크게 위의 4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습니다. 이렇다 보니 모든 매출의 일괄 집계가 어렵습니다. 또 매출 누락이 발생하기 쉬워 자칫 잘못하면 세무조사를 받을 수도 있으니 쇼핑몰 사업에 있어서는 정확한 매출 집계가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.

​즉, 세무조사로 인해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매출 집계를 정확히 해 주셔야 합니다.

4. 꼼꼼한 경비처리

온라인 쇼핑몰의 경우 절세를 위해서 경비처리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경비처리가 가능한 항목은 생각보다 많은데요. 아래와 같습니다.

  • 오픈마켓 수수료, PG 사용으로 인한 수수료

  • 포털사이트, SNS 등 광고비용

  • 상품 수입 시 발생하는 관세 등 통관 및 부대비용

  • 현금 지출의 경우 간이영수증(3만 원 이하)

  • 전기, 가스, 수도요금, 정수기, 공기청정기 등 각종 공과금 및 렌탈 비용

  • 인터넷, 전화, 팩스 등 통신비

  • 대중교통, 유류대, 숙박비, 식비 등 국내외 출장 비용

  • 택배, 퀵, 우편 등 배송비 및 배송부대비용

  • 축의금, 부의금 등 각종 경조사비(20만 원 이하)​

5. 반드시 세금계산서로 발급​

거래명세서는 매입 자료로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 비용 인정을 받으려면 반드시 세금계산서로 발급 받으셔야 합니다. 그런데 이때 물건을 파는 사람이 세금계산서 발급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매입자발행세금계산서 제도를 통해 매입비용을 인정 받으실 수 있습니다.📑

6. 광고비는 신용카드로 결제​

국내 포털 광고비는 대부분 세금계산서를 발행해 주기 때문에 비용 처리가 어렵지 않지만, 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등 SNS 광고비는 종종 계좌이체 방식으로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.

그런데 이렇게 계좌이체로 받을 경우 세금계산서가 발행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, 그럴 경우를 대비해서 신용카드로 광고비를 결제하여 거래내역을 남기는 것이 중요합니다.

​​7. 종합소득세 조정

매출 규모가 6,000만 원 초과일 경우 종합소득세 계산 방식이 다릅니다. 매출이 6,000만 원 미만인 경우 대표님이 스스로 홈택스에서 신고하셔도 무방하지만, 6,000만 원 초과인 경우 종합소득세 조정이 필요하기 때문에 세무사에게 의뢰하시어 절세하시는 것을 추천 드립니다. 💁🏻‍♂️💁🏻‍♀️​


세무기장 상담이 필요하면, 언제든 혜움과 상의하세요.

머니
쇼핑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