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업의 크나큰 위기, 자본잠식
사업가로서 기업의 미래가 궁금할 때 무엇을 확인하면 좋을까요? 바로 재무제표입니다. 회사의 현재 재정상태를 확인하고, 앞으로의 기업 운영 방향도 점검할 수 있기 때문이죠. 사업자가 재무제표를 볼 때 반드시 눈여겨봐야 할 사항이 있는데요. 본래 갖고 있던 돈, 즉 ‘자본’이 손실이나 적자로 인해 줄어들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. 기업 운영 시 적자로 인해 기업이 본래 갖고 있던 자기자본이 줄어드는 현상을 ‘자본잠식’이라고 하는데요. 경영위기가 찾아오기 전에 미리 알아두면 좋은 자본잠식의 기본 정의부터 해결 방법까지 소개합니다.
🤿 자본잠식의 정의
잉여금이 바닥나고 납입자본금이 마이너스가 되는 상태가 바로 자본잠식인데요. 자본잠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본의 구성에 대해 먼저 알아야 합니다. 자본은 ‘자본금 + 잉여금’으로 구성되죠. 자본금은 회사 설립 시 종잣돈이 되는 돈이기도 합니다. 잉여금은 자본잉여금과 이익잉여금으로 구성됩니다. 이를 쉽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자본금(발행 주식 수 X 액면가): 회사 설립 시 기반이 되는 돈
자본잉여금: 주식 발행 시 액면가와 발행가의 차액을 통해 얻은 이익
이익잉여금: 영업활동으로 획득한 당기순이익에서 배당금을 제외한 돈
따라서 자본잠식이란 자본의 총계가 자본금보다 적은 상태를 뜻합니다. 적자가 지속되어 기업 운영으로 획득한 돈이 줄어들고, 더 나아가 투자원금인 납입자본금까지 쓸 정도로 재정이 악화된 상태죠.
✌️ 자본잠식의 두 종류
① 부분 자본잠식
부분 자본잠식이란 회사의 적자폭이 커져 잉여금이 모두 바닥나고, 결국 납입자본금까지 사용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.
② 완전 자본잠식
부분 자본잠식 상태가 악화되면 완전 자본잠식 상태가 되는데요. 완전 자본잠식이란 누적 적자가 늘어나 잉여금 포함, 납입자본금까지 모두 잠식하게 된 상태를 뜻합니다. 즉, 완전 자본잠식 상태에서는 회사의 자본이 바닥나는 걸 넘어, 자본총계가 마이너스가 됩니다. 상장회사가 완전 자본잠식이 되면 주식거래가 정지되고, 이를 해소하지 못하면 상장폐지가 될 수도 있죠.
🧮 자본잠식률 계산 방법
부분 자본잠식과 완전 자본잠식 상태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요? 회사의 자본잠식 정도를 알기 위해서는 다음의 자본잠식률 계산 공식을 바탕으로 계산을 해봐야 합니다.
자본잠식률 = (자본금-자본) / 자본금 X 100
생각보다 단순한 계산법이지만 이를 통해 자본잠식의 진행 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🤜 자본잠식 해결 방안
기업 운영에 있어 큰 위기인 자본잠식. 만약 기업이 자본잠식 상태에 들어섰다면 어떤 조치가 필요할까요?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요. 바로 ‘자본총계 늘리기’와 ‘자본금 줄이기’입니다. 자본총계를 늘리기 위해서는 유상증자에 대해 알아두어야 하며, 자본금을 줄이기 위해서는 무상감자에 대해 알아두어야 합니다.
① 자본총계 늘리는 유상증자
유상증자란 자본을 늘리기 위해 기업이 새로운 주식을 발행하는 방식입니다. 주주나 제3자에게 대금을 받고 새로운 주식을 판매함으로써 기업이 보유하는 자본을 늘릴 수 있죠.
② 자본금 줄이는 무상감자
무상감자란 회사의 자본금을 감소하기 위하여 주주들에게 아무런 보상 없이 주식의 수만 감소시키는 방식입니다. 통상적으로 기업의 자본잠식이 발생할 때 재무구조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무상감자를 실시합니다.
“특히 감자는 부실기업이 자본잠식을 탈출할 수 있는 가장 손쉬운 방법입니다. 그리고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외에 자산재평가도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는데요. 이는 기업이 이전부터 보유하고 있던 땅이나 기계 등 자산의 가격을 현재 기준으로 바꿔주는 작업입니다. 하지만 이 방법은 장부상 수치의 변화만 있을 뿐 실질적으로 바뀐 것은 없다는 게 주의할 점이죠. 게다가 예를 들어 땅값이 떨어지면 다시 자본잠식 상태가 될 수도 있습니다.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유상증자나 기업의 이익을 통해 극복하는 것인데, 위기에 처한 기업으로서는 양쪽 다 쉽지 않은 일입니다.”
기업의 위기 상담도 혜움과 함께 하세요.